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대지도론
- 반야심경
- 대방광불화엄경
- 백유경
- 마하승기율
- 마명
- 중아함경
- 대반야바라밀다경
- 장아함경
- 정법화경
- 잡아함경
- 마하반야바라밀경
- 유마경
- 가섭결경
- 아미타불
- 수능엄경
- 대반열반경
- 대승기신론
-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
-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
- 무량의경
- 종경록
- 유마힐소설경
- Japan
- 유가사지론
- 증일아함경
- 방광반야경
- 묘법연화경
- 원각경
- 금강삼매경론
- Since
- 2551.04.04 00:39
- ™The Realization of The Good & The Right In Wisdom & Nirvāṇa Happiness, 善現智福
- ॐ मणि पद्मे हूँ
불교진리와실천
불교한자_퀴즈 본문
● 불교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
http://buddhism007.tistory.com/14324
【참고】
네이버한자
일본어글자발음
{네이버 일본어사전)
중국어 글자 발음
{네이버 중국어사전)
● 다음으로 연상되는 한자어를 적으시오.
+ ■ 한자 사전
+ 법수_암기방안
+ 삼매_게송퀴즈
참고
현재 아래 한자 대부분은 아승기품에 나오는 숫자 단위를 표기한 한자를 바탕으로 함.
■ 참고로 이들 한자(숫자단위)는 현실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.
그러나 이를 잘 외어 오히려 다른 내용을 결합해 기억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.
【관련 내용】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화엄경_수사_목록
[ 같은 내용 ‡아승기 또는 ● 80권본 화엄경 아승기품 수의 단위 ]
sfx--dict/아승기.txt
sfd8--불교용어dic_2564_04.txt ☞ ☞● 80권본 화엄경 아승기품 수의 단위
또는 화엄경_아승기품_■게송 참조 http://buddhism007.tistory.com/14826
sfxx--화엄경_아승기품_게송_암기.txt
숫자단위환산 => log [X번째수의단위] => 7 * 2의 (X -7) 승 <= 자릿수를 나타내는 0 의 숫자
예 log 계로다 => 7 * 2의 72승 => 1000.......... 형태로 자릿수를 나타내는 0 의 숫자가 7 * 2의 72승인 숫자단위임
아승기 - 숫자 - -[79검지 식지] - [계로다]
○ 계약을 미련하게 비탈에서 위험하게 맺은 것은? => 계로다 79 번째 수의 단위
契魯陀 【계로다】 = 契 ‘맺다’ ‘언약하다’, ‘새기다 【계】 + 魯 미련하다, 나라이름 【노】 + 陀 비탈 위험 【타】
契 ‘맺다’ ‘언약하다’, ‘새기다 【계】 ⇄ 㓞 교묘히 새길 【계】 + 大 크다 【대】
㓞 교묘히 새길 【계】 => 丰 예쁠 【봉】 + 칼 【도】 (刀)
○ 물고기가 무엇이라 말하는 내용은 무엇인가. No!
魯 미련하다, 나라이름 【노】 ⇄ 魚 물고기 【어】 + 말하다 【왈】 曰
○ 오래 밭에서 불에 구어 먹으려했으나 중간에 한쪽이 없어지는 것은?
魚 물고기 【어】 ⇄ 久 오래다 【구】 - 乁 흐르다 2. 파임(왼쪽에서 오른쪽 아래로 굽게 삐친 획) 【이】 + 田 밭 【전】 + 灬 불 【화】
灬 = 火 불 화 (같은 글자)
陀 비탈 위험 【타】 ⇄ ➠ 阜 언덕【부】 [=阝] ✙ 다를 【타】 它
它 다르다 【타】 ⇄ (갓머리) 집 【면】 宀 ✙ 비수 【비】 匕
● 아승기 - 숫자 - 80 -[거골] - [ 마도라 ]
○ 문질러서 보는 비단은? 마도라 80번째 수의 단위 => 7* ( 2 의 73 승 )의 자리수
摩覩羅 【마도라】= 摩 문지르다【마】+ 覩보다【도】+ 羅 비단【라】] = 7* ( 2 의 73 승 )
● 아승기 - 게송- [81 서혜부] --[사무라]
○ 춤추는 어머니가 입은 비단은?
* 娑母羅 【사모라】 = 娑 춤출 【사】 + 母 어머니 【모】 + 羅 비단 【라】
* 母 어머니 【모】
* 毋 아니다 【무】
● 아승기 - 게송 - [83 장딴지근 ]-[가마라 ]
○ 부처님이 작은 비단 위에 있는 것은?
迦麼羅 【가마라】 = 迦 부처 이름 【가】 + 麼 작을 【마】 + 羅 비단 【라】
● 아승기 - 게송 - [84 가자미근 ]-[마가바]
○ 절을 문지르는 할머니는? [84 수의 단위]
摩伽婆 【마가바】 = 摩 문지르다【마】 + 伽 절 【가】 + 婆 할머니 【파】
○ 사람이 힘을 주어 말해서, 풀 아래 누울 수 있는 그릇형태로 세운 집은 =>
伽藍 【가람】 = 절,
伽 절 【가】 = 亻 사람 【인】변 + 加 더하다 【가】
加 더하다 【가】 = 力 힘 【력】 + 口 입 【구】
藍 진한 푸른빛, 쪽빛, 절, 【람】 = (艹(=艸) 풀 【초】두머리 + 監 보다 【감】
監 보다 【감】 = 臣 신하 【신】+ 人(= )사람 【인】 + 皿 그릇 【명】
臥 누울【와】= 臣 신하 【신】+ 人사람 【인】
○ 모래와 물결이 여자 마음에 가득한 세계는? =>
娑婆世界 【사바세계】
娑 춤출 【사】 사바 세상 【사】 = 沙 모래 【사】 + 女 계집 【녀】
沙 모래 【사】= 삼수변(氵(=水, 氺) 물 【수】 + 少 적다 젊다 【소】
婆 할머니 【파】 범어음역 【바】 = 波 물결 【파】 + 女 계집 【녀】
波 물결 【파】 = 삼수변(氵(=水, 氺 물 【수】 + 皮 가죽 【피】
皮 가죽 【피】 = # + 又 손 【우】
老婆 【노파】= 늙은 여자(女子). 할머니
● 아승기 - 숫자 - [85 고관절 ] + [아달라]
○ 언덕에서 슬퍼 비단을 적시는 것은? 85 번째 수의 단위
阿怛羅 = 阿 언덕, 아부하다 【아】 + 怛 슬플 【달】 + 羅 비단 【라】
○ 언덕에서 옳다고 말하고 무언가를 주며 붙는 행위는?
阿附 【아부】 = 남의 비위를 맞추고 알랑거림
阿 언덕, 아부하다 【아】 = 阝[=阜] 언덕【부】 + 可 옳다. 【가】
可 옳다 【가】 = 丁 고무래, 장정 【정】 + 口입 【구】
附 붙이다. 【부】 = 阝[=阜] 언덕【부】 + + 付 줄 【부】
付 주다 【부】 = 人 사람 【인】 + 寸 마디 【촌】
元旦 【원단】 : 양력설
旦 아침 【단】 = 日 해 【일】 + 一 한 【일】
怛 슬플 【달】, 방자할 【단】 = 忄(=心, 㣺)마음, 심장 【심】변 + 旦 아침 【단】
● 아승기 - 숫자 - [86 대퇴골 ] + [혜로야]
○ 식혜를 미련하게 먹는 것은
醯魯耶 = 醯 식혜 【혜】 + 魯 미련하다, 나라이름 【노】 + 耶 어조사 【야】
○ 밥 먹다 남은 쌀이 그릇에 담아 깃발을 젓다보니 술 비슷하게 만들어진 음료수는?
食醯 【식혜】 : 쌀밥 + 엿기름 가루를 우린 물 + 생강 + 설탕 + 밥알을 띄운 음료
食 밥 【식】 = 八 여덟 【팔】 + 良 어질다 【양】
醯 식혜 【혜】 = 酉 닭, 술, 술병, 열째 지지 【유】 + 㐬 깃발 【류】 + 皿 그릇 【명】
酉 닭, 술, 술병, 열째 지지 【유】 = 西 서쪽 【서】 + 一 한 【일】
㐬 깃발 【류】 == 亠 【돼지해머리】 두+ 厶 아무개, 나 【모】, 마늘 【모】+ 川 내 【천】
充分 【충분】 분량(分量)이 적적(寂寂)하여 모자람이 없음
流 흐를 【류】 = 삼수변(氵(=水, 氺) 물 【수】 + 㐬 깃발 【류】
耶 어조사 【야】 = 耳 귀 【이】 + 阝 우부 【방】 [=>邑 고을 【읍】]
● 아승기 - 90 - [90 중-발가락 [ 신조어 ] => [비바라]
○ 돕는 할머니의 비단은? 90번째 수의 단위
毘婆(上)羅 = 毘 돕다 【비】 + 婆 할머니 【파】 범어음역 【바】 + 羅 비단 【라】
毘 도울 【비】 = 田 밭 [【전】 + 比 견줄 【비】
毗 도울 【비】 = 毘와 같은 글자.
● 아승기 - 94 - [94 검지-발가락 [ 신조어 ] => 미라보
○ 미혹하여 넓게 찢어버리는 것은 ?
迷攞普 = 迷 미혹할 【미】 + 攞 찢을 【라】 + 普 넓다, 두루 【보】
미라보: 화엄경 아승기품 94 번째 수의 단위
CF 미라보:프랑스의 정치가ㆍ웅변가(1749~1791).
프랑스 혁명 초기에 삼부회(三部會)의 제3 신분의 대표로서 활약하였고, 국민 의회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.
○ 쉬엄쉬엄 가면서 쌀을 흘려 혹시나 복을 받을까 생각하는 상태는?
迷惑 【미혹】 :, 헷갈림, 무엇에 홀려 정신을 차리지 못함. 2. 정신이 헷갈리어 갈팡질팡 헤맴.
迷 미혹할 【미】 = 辶 【책받침】= 쉬엄쉬엄 가다 【착】 + 米 쌀 【미】
米 쌀 【미】 = 十 열 【십】 + 丶점 【주】 4 개
惑 미혹하다 【혹】 = 或 혹시 【혹】 + 心 마음 【심】
或 혹시 【혹】 = 戈 창 【과】 + 口 입 【구】 + 一 하나 【일】
國 나라 【국】 = 囗 에워싸다 【위】=나라 【국】 + 或 혹시 【혹】
攞 찢을 【라】 扌 【재방변】 = 手 손 【수】와 같은 글자 + 羅 비단 【라】
普遍 【보편 】 모든 것에 두루 미치거나 통(通)함
普 넓다, 두루 【보】 = 竝 아우를 【병】 + 日 날 【일】
[사성음] pǔ (pǔ)
竝 나란히 서다. 아우르다. 【병】 = 立 설 【립】 + 立 설 【립】
遍 두루 【편】 biàn (biàn) = 辶(책받침, 쉬엄쉬엄 가다 【착】 + 扁 넓적할 【편】
扁 납작하다. 【편】 = 戶 지게 【호】 + 冊 책 【책】
冊 책 【책】 = 冂(멀 경) + 十 열 【십】 +十 열 【십】
● 아승기 - 95 - [95 足背 【족배】 ~발등 ] => [자마라]
○ 어떤 이의 작은 비단 그물은?
者麼羅 = 者 놈 【자】 + 麼 작을 【마】 + 羅 그물 【라】
者 놈 【자】 = 耂 늙을 【로】엄 + 白 희다 말하다 【백】
耂 늙을 【로】엄 = 老 늙을 【로】와 같은 글자[同字]
麼 작을 【마】 = 麻 삼 【마】 + 幺 작을 【요】
彡麼 【삼마】 : 중. 불승(佛僧).
彡 터럭 【삼】
● 아승기 - 96 - [96 족근 足跟 ~ 발꿈치 ] => [ ]
● 아승기 - 97 - [97 족~비탈 ~측면 [ 신조어 ] => [발라마타] 鉢攞麼陀
● 아승기 - 98 - [98 무명 (~네째) 발가락 [ 신조어 ] => [비가마 毘伽摩 ]
'연구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퀴즈 (0) | 2020.03.05 |
---|---|
불교어학_영어 (0) | 2020.03.03 |
범어_금강경공부_001 (0) | 2019.05.02 |
불교사전 사이트 안내 (0) | 2019.04.09 |
통합대장경과 경전연구 방향 (0) | 2019.04.06 |